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44

책읽기 모임 <2050 거주불능지구> 환경책읽기 모임 12월 첫번째 모임 진행했습니다. 어느젓 첫 책이 끝나가네요. 환경책 모임은 시민 모두에게 열려있습니다. 함께 모여 이야기와 지혜를 나누실 분들은 사무국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041-578-9898 2020. 12. 4.
와촌초등학교 환경교육 2차 아마도 올해 마지막 학교 교육이 아닐까 싶습니다. 와촌초등학교 5,6학년 친구들과 함께 환경교육 진행했습니다. 품목별 분리배출 방법을 중심으로 자원순환 교육을 진행했고 폐건전지 수거함 만들기 체험도 했습니다. 2020. 11. 26.
서여자중학교 화장품 안전 교육 3,4 지난번 수업에 이어 어제와 오늘도 서여자중학교에서 천연화장품 만들기 교육을 진행했습니다. 예년에는 10회 정도의 긴 호흡을 가졌던 연강인데 올해는 코로나로 인해 짧게 진행했습니다. 여러가지 제품들을 단시간에 만들다보니 그야말로 전쟁같은 핸드메이드 시간이었다는 후문...! 2020. 11. 25.
와촌초등학교 환경교육 1차 와촌초등학교 친구들과 함께 환경교육 함께 했습니다. 갈수록 종류가 많아지는 인공향제품 바로알기, 아로마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탈취제 만들기를 진행했습니다. 2020. 11. 19.
전지류는 폐전지 수거함에 버려주세요 (사)한국전지재활용협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국내 전지류 재활용률은 20%대(’17년 25.3%, ’18년 21.6%, ’19년 23.5%)대로 라고 합니다. 폐전지류 분리배출 필요성과 유해성에 대한 인식아 많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됩니다. 환경부는 생활 속에서 폐전지류의 올바른 분리배출이 정착 될 수 있도록 지난 10일부터 전국 지자체 대상으로 폐전지류 분리배출 홍보물을 배포했습니다. 현재 천안시에서는 홍보를 구상 중이라고 합니다. 가정에서 많이 배출되는 장난감, 소형가전(노트북 배터리, 충전용 보조배터리 등)에 내장된 전지류를 폐전지류 전용수거함에 배출하라는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도서관 등의 공공시설물과 청룡동, 불당동 주민자치센터에 설치된 폐건전지 배출함은 내년에 전체 읍면동 주민자치센터로 확대될 예.. 2020. 11. 13.
2020 여성건강학교 2강 <닭대가리와 치느님의 세상> 2020 여성건강학교 2강, 정은정 작가님과 함께 했습니다. 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매식인 치킨을 중심으로 한국의 먹거리 문화와 산업을 해부한 책입니다. 음식 사회학을 다룬 대표적인 책 중 하나입니 다. 오늘은 음식을 통해 사회구조를 바라보는 색다른 관점을 공유했습니다. 그 중에서도 치킨이 메인요리였죠. 우리나라의 한해 도계량은 약 10억 마리, 그 중 70%가 치킨입니다. 명실상부 최고의 배달음식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먹는 사람이 많으면 파는 사람도 많은 법. 치킨은 한국 자영업의 상징이기도 합니다. 2019년 2월 기준 전국 치킨 브랜드 수는 409개, 치킨집 개수는 8만 7000여 곳입니다. 독점 대기업에 의해 수직계열화가 완료된 치킨 시장은 매일 살인경쟁 중입니다. 프랜차이즈 본사가 떼어가는.. 2020.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