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교육/어린이73 수신초등학교 녹색헌법 만들기-'추석이나 한글날처럼 초록급식의 날을 만들었으면 좋겠어요' 수신초등학교 녹색헌법만들기 2회차, 오늘은 기후위기와 생물다양성에 대한 조항을 만들었습니다. 먼저 1회차에 작성한 기후위기 관련 제안 조항에 대한 투표를 진행하였습니다. 수소로 달리는 차를 많이 개발한다, 광고에 기후변화를 알리는 내용을 넣는다, 추석이나 한글날처럼 초록급식의 날을 만든다(어린이만이 아닌 어른들도 모두 초록급식을 할 수 있을듯 합니다~^^) 등 다양한 제안과 함께 '버스를 시골에도 많이 운행하게 한다'는 제안이 눈에 띄었습니다. 농촌소멸을 걱겅하고 농업의 중요성을 이야기하지만 정작 농촌에는 최소한의 이동수단인 버스가 줄어드는 현실에서 정말 좋은 제안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2회차 생물다양성, 최근 기후위기로 인한 환경문제로 생태계가 파괴되고 야생동물을 비롯한 생물다양성이 위협을 받고 있는.. 2025. 9. 8. 수신초등학교 녹색헌법 만들기 어린이가 만드는 녹색헌법, 더워도 너무 더운 여름 개학과 함께 수신초등학교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수신초등학교는 전교생이 총 28명인 작은 학교인데 오늘은 6학년 11명, 5학년 2명 총 13명이 참여했습니다.우리가 집을 지을때 어떤 집을 지을지 상상을 하고 설계도를 그리는 것처럼 녹색헌법의 취징 대해 설명하고 첫번째 주제인 자원순환 문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천안의 쓰레기 문제,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에 대해 친구들과 도란도란 이야기도 하고 고민도 하여 필요한 내용을 작성했습니다. 서로의 의견을 꼼꼼히 보고 투표도 진행! 제일 많이 표를 받은 내용은 기계에 재활용품을 넣으면 돈(녹색 포인트)을 주어 시민들이 재활용을 열심히 하도록 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또한 길에 쓰레기를 버리.. 2025. 8. 21. 녹색헌법, 우리가 만들어요! 더워도 너무 더운 토요일, 도로에는 본격적인 휴가철인지 자동차가 많이 보이지 않더라구요. 오늘처럼 자동차가 도로에 없는 천안시라면 기후위기에는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하면서 천안시종합사회복지관을 방문하였습니다.바로 복지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어린이청소년 환경도아리 그레잇 친구들과 녹색헌법 만들기로 만났거든요. 무더위 속에서도 환경에 관심 있는 친구들이 모여서인지 눈이 반짝반짝!우선 우리가 환경과 관련하여 헌법을 왜 만드는지 함께 이야기한 후 자원순환과 기후변화 두가지 분야에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이 무엇이 있는지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가졌습니다.그리고 오늘도 어김 없이 투표! 대학생 자원활동가 선생님들도 의견을 내고 투표를 함께 진행하였습니다.투표 후 결정된 정책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으.. 2025. 8. 4. [녹색헌법 만들기] 성성초등학교 워크샵 성성초등학교 환경동아리 친구들과 녹색헌법 만들기 워크샵 함께 했습니다. 오늘은 자원순환에 대해 생각해보았어요. 각자가 생각하는 자원순환(쓰레기) 문제를 꼽아보고 그런 문제들 해결할 수 있는 법, 혹은 그런 문제가 애초에 발생하지 않게 하는 법을 상상해보았습니다. 마음에 드는 아이디어에 스티커를 붙이는 투표도 해봤습니다. 가장 많은 스티커를 받은 아이디어를 추려 녹색헌법 조항을 완성합니다. 헌법은 우리나라의 안정과 평화를 위해 만든 국가와 국민 간의 약속입니다. 녹색헌법 만들기 워크샵은 더 깨끗한 우리사회를 위한 약속을 정하는 활동입니다. 5명에서 10명 사이의 어린이/청소년으로 구성된 동아리나 학급 모임 등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녹색헌법 #자원순환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성성초 #천안녹색소.. 2025. 5. 20. 미죽초등학교 천연염색 체험 2024. 10. 25. 지역아동센터 탄소중립 교육 맑은 날 250제곱미터의 엽면적을 기준으로 가로수 1그루는 매일 성인 1~4명이 방출하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성인 1~3명에게 산소를 공급한다고 합니다. 기후위기 대응에 있어 그만큼 식물이 중요한 까닭입니다. 어제는 천안지역아동센터 오늘은 깨비지역아동센터 친구들과 함께 다육이 화분을 만들어보며 탄소중립에 대해 이야기 했습니다. 매일 나무를 심을 수는 없겠지만 함께 만든 다육이 화분을 보며 더 깨끗한 미래를 위한 실천을 다짐해봅니다. 2024. 10. 15. 이전 1 2 3 4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