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044 대학생 분리배출 교육 생활 특성 상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을 많이 하고 또 그만큼 쓰레기 문제에 관심이 높은 것이 대학생들입니다. 오늘 오전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올바른 분리배출 교육을 진행했습니다. 분리배출의 4원칙(비우고, 헹구고, 분리하고 섞지 않기)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제로웨이스트에 대해서도 알아보았습니다. #제로웨이스트 #쓰레기 #분리배출 #자원순환 #천안 #대학생활동 #천안녹색소비자연대 2022. 3. 21. 한살림 매장에 멸균팩 전달 멸균팩은 살균팩(우유팩)과 달리 행정복지센터 교환이 여의치 않고, 교환 이후에도 제대로 재활용이 될지 미지수입니다. (멸균팩 재활용 업체는 한 곳 뿐입니다) 하지만 그 출고량은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니, 참으로 어려운 재활용 품목입니다. 그래서 천안녹색소비자연대는 를 통해 살균팩만이 아니라 멸균팩(테트라팩이라고도 불리죠)도 함께 모으고 있습니다. 두 달여 기간 동안 모은 17.4kg의 멸균팩을 한살림 매장에 전달 완료했습니다. (한 살림은 멸균팩 재활용 업체와 직접 연결 되어있습니다) 2022. 3. 18. 옷되살림 캠페인 참여 한살림에서 진행하는 [옷되살림운동]에 천안녹색소비자연대가 올해도 함께 합니다. 봄맞이 옷장정리 후 안 입는 옷을 사무국으로 가져다주세요. 모아진 옷은 수출업체에 판매되고 수익금은 파키스탄 빈민가 아이들 학업 지원과 옷되살림활동에 사용됩니다. 2022. 3. 17. 로컬푸드 소비자 시민단체 간담회 참석 농촌을 살리면서, 농산물 시장에 ‘교류’의 가치를 불어넣을 가장 확실한 방법은 로컬푸드입니다. 로컬푸드는 주거지 반경 50km이내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뜻합니다. 말 그대로 내가 사는 곳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소비하자 라는 뜻이죠. 그래서 로컬푸드 소비는 내가 사는 지역에 대한 투자와도 같습니다. 먹거리와 농업에 대한 소비자의 시각은 시장의 판도를 바꿉니다. 5천만 인구 중 농가 인구수는 250만명, 쌀을 제외한 식량자급률이 10%도 되지 않는 한국의 현재. 분명한 변화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천안녹색소비자연대는 10년 넘게 도농교류 활성화 운동을 이어왔고 올해도 로컬푸드(우리 지역 먹거리 소비)를 알리는 활동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뜻을 함께 하는 곳들과 연대하기 위해 소비자 시민단체 간담회에 다녀왔습니다. 2022. 3. 15. 천안시민사회단체협의회 정기총회 오늘 오전 천안시민사회단체협의회(천시협) 정기총회가 있었습니다. 천시협은 총 13개의 비영리 시민단체가 소속되어있습니다. 오늘 총회에서는 2021년 천안 시민단체 네트워크의 활동을 평가하고 2022년 사업을 함께 계획했습니다. 2022년에도 환경, 인권, 장애인, 교육, 주민참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천안시와 천안시의회를 견제하고 시민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겠습니다. 2022. 3. 15. 초록은 동색 2022년 참가 어린이 모집 어린이 숲체험 프로그램 2022년 상반기 참가 어린이를 모집합니다. 소나무 선생님과 숲놀이 함께 할 친구들 여기로 모이세요! 🤗🤗 #어린이숲체험 #생태놀이 #어린이활동 #천안녹색소비자연대 2022. 3. 14. 이전 1 ··· 75 76 77 78 79 80 81 ··· 1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