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순환 운동/지구와함께가게71 <종이팩 분리배출 체계 마련을 위한 정책 토론회> 후기 오늘 오후 2시에 진행했습니다. 우리 사회 자원순환 문제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하듯 많은 분들이 함께 해주셨습니다. ‘전국민이 분리배출에 참여하는 나라’에서 20년 동안 종이팩 분리배출 체계 수준이 제자리걸음인 것은 큰 문제입니다. 이는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은 상황에서는 지자체와 소비자의 노력도 한계가 있다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환경부 차원에서 대대적인 정리를 통해 생산자의 책임을 확고히 해야 한다는 점에 목소리를 모았습니다. 천안녹색소비자연대를 비롯한 민간단체들은 각 지역에서 종이팩 자원순환 시스템의 변화를 요구하는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왔습니다. 오늘은 광주광역시와 홍성에서 종이팩 자원순환 활동에 힘쓰는 과 의 사례를 통해 전국 각지에서 많은 시민들이 함께 노력하고 있음을 눈으로 확인했.. 2021. 11. 1. 지구와함께가게 드라이브 캠페인 내일 올해 마지막 종이팩 교환을 하러 갑니다. 수거 자원봉사자님들과 함께 트럭에 싣기까지 완-료. 이번에는 7천여 장의 종이팩이 새생명을 얻으러 떠납니다. 다연과 천안시장애인종합복지관 카페그로우에 들러 지도도 전달했습니다. 상점에 방문하시면 지도를 받아 가실 수 있습니다. 2021. 10. 28. 천안시 종이팩 교환사업 모니터링 천안시 읍면 지역 종이팩 교환사업 모니터링 결과입니다. 이번에는 천안녹색소비자연대 정기 기부자님들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성환읍행정복지센터-2층 산업건설팀에서 교환업무를 봅니다. 2층까지 올라가야 한다는 점을 빼면 진행은 수월했습니다. 1층에는 아이스팩 수거함도 비치되어있습니다. 입장면행정복지센터-1층 산업건설팀의 담당 업무이지만 담당자가 부재중이라 맞춤행복지팀에서 교환횄습니다. 성거읍행정복지센터-1층 산업건설팀에서 교환했습니다. 성거읍 센터는 저울로 무게를 재서 1,000ml 1kg에 음식물쓰레기종량제봉투 10장으로 교환해주고 있었습니다. 9월부터 현재까지 예닐곱명 정도의 시민이 교환업무를 본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직산읍행정복지센터-1층 민원창구 뒤쪽의 사무 공간으로 진입해야 합니다. 1층 중간에 위치.. 2021. 10. 24. 천안시 종이팩 자원순환 체계 마련을 위한 정책 토론회 https://bit.ly/천안종이팩 종이팩 자원순환 체계 마련을 위한 정책 토론회 참여 신청 form.office.naver.com 2021. 10. 21. 청당벽산블루밍아파트 종이팩 교환 사업 2차 2021. 10. 6. 천안시 종이팩 교환사업 모니터링 지난여름 천안녹색소비자연대에서 실시한 ‘천안 시민 종이팩 분리배출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천안시 종이팩 교환사업’에 대해 알고 있는 응답자는 10명 중 3명 수준입니다. 그마저도 일부 행정복지센터 담당 공무원의 응대는 “이럴 거면 교환 사업을 왜 하는 건가요?” 라는 반응이 나올 수준입니다. 일반 주택이 아닌 아파트 거주자의 종이팩은 받을 수 없다고 거부를 하는가하면 심지어 해당 사업 자체에 대해서 잘 모르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오늘은 각 지역 행정복지센터의 교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직접 방문을 해보았는데요, 다행히 쌍용1동, 성정1동, 성정2동 행정복지센터에서 무사히 교환을 잘 마쳤습니다. 원칙적으로 목요일 교환이지만 쌍용1동은 매일 교환이 가능했고 성정1동 역시 목요일 시간이 어려운 경우 다른 .. 2021. 9. 30. 이전 1 ··· 4 5 6 7 8 9 10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