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1063 2020 여성건강학교 2강 <닭대가리와 치느님의 세상> 2020 여성건강학교 2강, 정은정 작가님과 함께 했습니다. 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매식인 치킨을 중심으로 한국의 먹거리 문화와 산업을 해부한 책입니다. 음식 사회학을 다룬 대표적인 책 중 하나입니 다. 오늘은 음식을 통해 사회구조를 바라보는 색다른 관점을 공유했습니다. 그 중에서도 치킨이 메인요리였죠. 우리나라의 한해 도계량은 약 10억 마리, 그 중 70%가 치킨입니다. 명실상부 최고의 배달음식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먹는 사람이 많으면 파는 사람도 많은 법. 치킨은 한국 자영업의 상징이기도 합니다. 2019년 2월 기준 전국 치킨 브랜드 수는 409개, 치킨집 개수는 8만 7000여 곳입니다. 독점 대기업에 의해 수직계열화가 완료된 치킨 시장은 매일 살인경쟁 중입니다. 프랜차이즈 본사가 떼어가는.. 2020. 11. 12. 서여자중학교 화장품 안전교육 2 어제에 이어 오늘도 서여중에서 핸드메이드 체험교육 진행했습니다. 사진은 흡사 과학실같네요. 짧은 시간 안에 여러 품목을 만드느냐 바빴다고 하네요. 2020. 11. 11. 서여자중학교 화장품 안전교육 1 서여자중학교에서 화장품 안전교육 진행하며 천연 스킨과 수분크림을 함께 만들었습니다. 아마도 올해 처음으로 학교에서 진행한 화장품 만들기 교육이 아닌가 싶습니다. 작년만 하더라도 이런 학교 교육 후기를 자주 올렸었는데, 그 일상 같았던 일이 특별해지고 말았네요. 2020. 11. 10. 단국대학교, 천안녹색소비자연대 교류협력 협약식 단국대학교 사회봉사단과 천안녹색소비자연대는 향후 협력을 통해 자원순환 녹색캠퍼스 만들기 운동, 나아가 지역사회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함께 하기로 협약을 맺었습니다. 2020. 11. 10. 2020 여성건강학교 1강 <고기와 당신 사이에 한 번쯤 놓여야 할 이야기> 2020 여성건강학교 1강, 한승태 작가님과 함께 했습니다. 는 저자가 국내 사육농가에 취업해서 겪은 다년간의 노동경험을 글로 옭긴 르포르타주입니다. 고기 산업에 대한 생생한 증언이자 노동 에세이인 동시에 사람의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고기 산업을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공간’과 ‘시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사육 동물이 움직임을 위한 최소한의 ‘공간’도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 사육 동물을 더 빠른 ‘시간’안에 고기로 살찌우기 위해 벌어지는 일들, 이 공간과 시간 때문에 일어나는 일들은 거의 모든 소비자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있습니다. 소비자들이 이 공간과 시간의 문제를 타자화하는 만큼 축산업 현장은 비인도적이며 비인간적인 곳이 됩니다. 고기로 태어난 동물들의 삶, 식용 동물농장에 얽.. 2020. 11. 10. 화씨2020 측정 결과보고 2020. 11. 3. 이전 1 ··· 134 135 136 137 138 139 140 ··· 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