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044 두정지역아동센터 어린이 녹색소비 교육 6월 21일 두정지역아동센터에서 어린이 녹색소비교육 2차 진행했습니다. 물과 하천 교육과 천연 비누 체험을 함께 했습니다. 2019. 7. 3. 2019 여성건강학교 5강 시민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고 또 사유 할 수 있는 시간을 만들고자 준비한 2019 여성건강학교, 오늘로서 모든 시간을 마쳤습니다. 오늘은 어떻게 보면 앞선 네 번의 강연을 모두 아우르는 내용의 강연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수의사이자 생명윤리학 박사이신 박종무 선생님을 모셨습니다. ‘공장식 축산과 가축살처분, 무엇이 문제인가?’를 제목으로 현재도 거의 매년 행해지고 있는 가축 살처분 문제, 그 논의에 필연적으로 포함되는 공장식 축산의 역사적, 의학적, 정치경제적 배경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마하트마 간디는 한 문명이 동물을 어떻게 대하는지가 그 문명의 수준을 보여준다고 하였습니다. 지구상 최고의 종이라고 자부하는 인간이라는 종의 현재 수준은 과연 어떨까요? 인간이 당하고 싶지 않은 일은 동.. 2019. 7. 1. 2019 여성건강학교 4강 어느덧 6월의 마지막 금요일입니다. 부쩍 습해진 날씨 속에서 2019 여성건강학교 네 번째 시간 함께 했습니다. 오늘은 연암대학교 스마트원예계열 채상헌 교수님을 모시고 로컬푸드와 우리 농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1990년대 농식품계 최고의 캠페인이었던 신토불이는 소비자의 동정심에 호소하는 방향성으로 인해 실패한 캠페인으로 평가됩니다. 그 다음 세대에 나온 것, 그리고 현재 우리 농촌의 가장 시급한 것이 로컬푸드 소비입니다. 로컬푸드는 주거지 근방 50km이내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뜻합니다. 말 그대로 내가 사는 곳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소비하자, 라는 매우 단순한 주장입니다. 하지만 이 단순한 주장이 실현되기란 쉽지 않습니다. 우리가 소비하는 대부분의 농산물은 산지에서 수확된 지 일주일, 빠르면 3.. 2019. 6. 28. 두정지역아동센터 어린이 녹색소비교육 6월 21일 두정지역아동센터에서 어린이 녹색소비교육 1차 진행했습니다. 기후변화 교육과 천연 탈취제 만들기를 함께 했습니다. 2019. 6. 24. 5월 31일 서여자중학교 EM흙공 만들기 2019. 6. 24. 천안 로컬푸드 직매장 현황 2019.3 천안시 농업정책과 2019. 6. 24. 이전 1 ···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1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