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44

성정초등학교 6학년 물사랑 교육 2022. 5. 26.
충남이주여성상담소 EM흙공 만들기 교육 2022. 5. 25.
[월경권 기획 강좌 2] 월경은 권리인가 월경권 기획 강좌 두 번째 시간 진행 했습니다. 오늘은 여성학자 박이은실 선생님과 함께 월경과 시민권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인간이 월경을 터부시한 역사 그리고 그것의 정치사회학적 의미. 근대 시민국가가 월경하는 여성의 몸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 지까지 살펴보았습니다. ‘시민’을 특정함에 있어 여성은 언제나 2등 시민이었고 그래서 월경하는 몸에 대한 사회적 논의는 제대로 이루어진 적도 없습니다. 하지만 월경은 개인의 선택이 아니라 타고 나는 것이기에 시민권의 영역에서 다루어져야 합니다. 책 에는 이런 구절이 있습니다. ‘유방처럼, 여성의 성기란 신체의 일부분인 동시에 사회공동체 속에서 계속 문화로 판결 받는 기관이다.’ 월경도 마찬가지입니다. 자연스러운 신체 현상인 월경은 그 혈이 여성의 하체에.. 2022. 5. 23.
매월 22일 지구를 위한 10분 불끄기 2022. 5. 22.
[월경권 기획 강좌 1] 월경용품 알 권리 선택할 권리 월경권 기획 강좌 첫 번째 시간 함께 했습니다. 오늘은 월경 서비스 브랜드 ‘이지앤모어’ 안지혜 대표님을 모시고 [월경 용품 알 권리, 선택할 권리]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대부분의 여성이 초경 때 처음 접한 월경 용품/브랜드를 계속 사용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한국 여성의 대다수는 패드형 생리대를 사용합니다. 그 외 다른 월경용품이 있다는 것을 모르거나, 알아도 정보가 없어 시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성인이 된 후에도 마찬가지죠. 진정한 자유는 선택권이 있다는 것이고 월경용품도 마찬가지입니다. 안지혜 대표님은 여성들이 자신의 건강한 월경을 ‘선택’을 할 수 있는 사회를 목표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월경용품을 시도하는 여성이 많아지면 시장은 변합니다. 월경을 내 이야기가 아니라 사회의 .. 2022. 5. 20.
화씨2022 5월 기온측정 2022. 5.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