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 25

1.5도 라이프 스타일 워크샵

“한국이 탄소배출 10위 안에 든다던데, 그럼 한 명의 개인인 나는 탄소를 얼마나 배출하고 있을까?”궁금한 분들을 위한 계산기가 있습니다. 먹거리/소비/교통/주거/여가로 나누어 나의 탄소발자국의 크기를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계산으로 끝나면 재미가 없겠죠? 지구평균기온 상승 1.5도 제한을 위해 개인과 공공이 해야 할 일도 제안합니다. 나의 노력이나 의지와 상관없이 배출되는 탄소는 공공의 서비스가 확충되면 자연스럽게 줄어듭니다. 가령 대중교통 인프라가 탄탄한 국가의 개인 탄소배출량 계산 결과에는 ‘교통’ 비중이 작습니다. 당연히 전체 탄소배출량에도 영향을 주지요.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따로 또 같이 이야기를 나누는 것, 1.5도 라이프 스타일로 향하는 첫 걸음입니다.

에너지 운동 2024.10.24

<빼앗긴 숨> 아직 끝나지 않은 가습기 살균제 참사

올해 녹소연에서는 화학물질과 여성건강>을 주제로 생활 속 화학물질 안전에 대한 활동을 이어왔습니다. 오늘은 그 마지막 시간으로 환경보건시민센터의 최예용 소장님과 함께 가습기 살균제 사건의 처음부터 현재까지를 함께 돌아보았습니다.   전체 국민의 38%가 가습기를 사용했고 그중 18%인 894만 명이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사건의 가해자는 아직도 제대로 처벌받지 않았고 피해 보상과 배상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국내는 물론이고 전 세계적으로도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화학물질 참사인 이 사건은 그 심각성과 피해 규모에 비해 너무 쉬이 잊혔습니다. 어떤 이는 이 사건은 재난이나 참사라기보다는 ‘악행의 결과’라고 이야기합니다. 기업은 검증 의무를 저버렸고 정부는 안전관리 의무를 저버렸..

녹색살림 운동 2024.10.22

충청남도시각장애인복지관 소비자 교육

충청남도시각장애인복지관 이용자분들께 소비자 피해예방 교육 진행했습니다.많은 분들이 피해를 입는 보이스피싱부터 상조서비스 등 소비자 상담으로 사례가 다수 접수되는 건들에 대해 안내해드리고 청약철회를 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드렸습니다.소비자로써 겪는 다양한 문제들을 이야기 들어보기도 하고 같이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는 시간이었습니다.저는 온라인 쇼핑 빈도수가 매우 낮은 편인데, 오늘 참여한 선생님들 중에는 인터넷으로 스피커를 구매하거나 대리로 하긴 했어도 해외직구까지 다양한 전자상거래의 경험이 있으셨습니다. 해외직구 제품을 구매하고 불량이어서 불편을 겪은 내용을 공유해주시기도 했습니다.다양한 거래 방식이 있는 만큼 다종의 피해사례가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시각장애인분들이 더 쉽게 접할 수 있는 소비자..

천안시 여성청소년 화장 경험 조사 결과

천안녹색소비자연대에서는 올해 화학물질과 여성건강을 주제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관련하여 가장 대표적인 화학제품이자 특히 여성들의 일상으로 녹아있는 화장품에 대해 인터뷰, 교육 등을 진행했고 여성청소년들의 화장 경험 조사도 실시하였습니다.   우리나라 여성청소년들이 처음 화장을 시작하는 나이는 평균 12~13세라고 합니다. ‘어려서부터 화장을 한다’라는 정보는 있지만 그 청소년들이 어떻게 화장을 시작했고 화장품을 어떻게 소비하고 있는지 등등은 잘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천안시 여성청소년 700명의 답을 들어보시죠.

녹색살림 운동 2024.10.16

<쓰레기 없는 지역축제 만들기 시민 토론회> 개최

녹소연의 금년 쓰레기 주제 한 축은 축제!!였습니다.상반기에는 K컬처박람회, 하반기에는 흥타령춤축제에서 일회용품 발생량 모니터링과 시민인식조사를 한 결과발표 시간을 갖습니다.뿐만 아니라 전북 지역의 쓰레기 없는 축제 사례 발제도 들으실 수 있습니다.천안시의회 등 토론자도 모셔서 천안시 쓰레기 없는 지역축제 만들기 시민토론회를 개최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신청 링크 ☞ https://bit.ly/축제쓰레기

자원순환 운동 2024.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