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너지 운동158

1.5℃를 지켜라 "기후변화협상 시뮬레이션" 2015년 12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UN기후변화협상 당사국 총회에서 200여개의 국가가 모여 파리기후협정>을 채택하였습니다. 이 협약에서 참여국들은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을 산업혁명 이전보다 2℃ 아래로 유지하면서 1.5℃를 넘기지 않기 위해 노력할 것을 공식화 하였습습니다. 그리고 2018년 10월 인천에서 열린 제48차 IPCC총회에서 195개 회원국의 만장일치로 '지구온난화 1.5도 특별보고서'가 채택되었습니다.이를 바탕으로 국가간 1.5℃를 확보하기 위한 국가간 기후협상을 체험해보는 '기후변화협상 시뮬레이션'이 진행되었습니다. 참가자들은 선진국(미국), 개발도산국A(중국), 개발도상국B(아프라카 대부분의 국가)로 나누어 1.5도를 지키기 위한 1차 협상을 진행하였습니다.국가별로 최고 배출량 연.. 2025. 8. 13.
1.5도라이프스타일과 함께 하는 옷 교환파티 일상의 탄소배출을 많이 하는 부분을 찾아 실제적인 탄소감축을 실천해보는 ‘1.5도 라이프스타일’, 대학생들과 함께 진행하였습니다.1.5도 계산기를 해본 결과 탄소배출이 가장 많이 되는 부분이 11명 중 8명이 소비부분을 들었고 대부분 의류쓰레기 문제를 이야기 하였습니다. 참가자들이 대학생들이다보니 옷 쓰레기가 많이 나오는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미리 공지한 대로 1.5도 라이프스타일 참여자들이 입지 않는 의류를 가지고 와서 아무것도 사지 않는 가게에서 직접 교환해 보는 활동도 함께 진행하였습니다.일상과 연결한 탄소배출 저감, 1.5도 라이프스타일을 통해 나의 탄소배출도 알아보고 옷도 교환하는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1.5도라이프스타일 #탄소저감 #천안시민사회네트워크#소비 #옷쓰레기 #교환 #21%파티#.. 2025. 8. 4.
뜨거운 지구에서 녹색으로 살아가기 '1.5도 라이프스타일 워크숍' 뜨거운 지구를 구하는 적극적인 방법, 생활 속 탄소 줄이기 입니다.나는 일상 속 어떤 부분에서 탄소를 많이 배출하고 있을까요?오늘 대학생들과 함께 1.5도 라이프스타일 워크숍을 통해 기후위기의 문제점에 대해 함께 살펴보고 탄소계산기를 해보았습니다.가장 적게 배출한 4.7톤에서 가장 높게 배출한 12.3톤으로 탄소를 배출하였으며 주거가 가장 많이 나왔고 소비 부분, 먹거리 부분 순으로 탄소를 배출하고 있었습니다.탄소감축을 위한 개인의 실천으로는 사용하지 않는 제품들의 코드를 뽑는다, 뜨거운 물 사용과 에어컨 사용을 줄인다, 가까운 거리는 자전거 이용, 소비 다이어리 작성하기, 환경관련 뉴스 찾아보기, 소비 줄이기, 일주일에 외식 횟수 줄이스, 스마트폰 교체주기 늘리기, 커피 줄이기, 옷 오래 입기, 의류 .. 2025. 7. 24.
천안시노인종합복지관 탄소중립 교육 천안시노인복지관 어르신들과 매월 2회기씩 기후위기 문제에 대해 공부하고 있습니다. 생활 속 탄소줄이기 실천으로 포인트를 모아보는 '탄소업슈' 어플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2025. 6. 9.
[헌법과 기후위기] 강의 독일의 ‘자연의 권리 네트워크’라는 이름의 단체에서 제안한 생태헌법 개정안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 [자연에는 법적 능력이 있다.]우리나라의 기후헌법소원 역시 이러한 법적 능력을 입증하는 과정의 하나입니다. 기후위기 대응으로 지구환경을 지켜야 한다는 당위성을 넘어 법적으로도 인정받기 위한 많은 이들의 노력을 살펴보았습니다.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참여가 눈에 띄었죠. ‘현재의 기후위기 대응이 충분하지 않다면 미래를 살아갈 이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는 명제를 상징했습니다.이런 사회적 노력과 법적 성과 위에서 녹소연이 ‘어린이/청소년 녹색헌법 만들기’ 사업을 진행합니다. [헌법]이라니 뭔가 어려울 것 같지만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국가와 국민이 지켜야 할 약속을 만들어보는 활동입니다. 참여를 .. 2025. 4. 30.
기후변화협상 시뮬레이션-선문대학교 로타랙트 선문대학교에서 기후변화협상 시뮬레이션 함께 했습니다. 기후위기 대응은 전 세계가 함께 하는 조별과제입니다. 조별과제가 얼마나 어려운지 실시간으로 체험 중인 대학생들답게 쉽지 않은 협상 과정을 거쳤습니다. 기후변화협상 시뮬레이션은 10명~15명 사이의 그룹으로 함께 합니다. 관심 있는 동아리, 모임 등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기다립니다. 2025. 4.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