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원순환 운동267

<지구와함께가게> 20호점을 소개합니다 종이팩 분리배출에 함께 하는 20호점을 소개합니다. 신부동 터미널 근처 ‘하이비’입니다. 외관이 예뻐서 한 눈에 콕 들어오는 디저트 맛집. 2021. 11. 19.
<지구와함께가게> 19호점을 소개합니다 종이팩 분리배출에 함께 하는 19호점을 소개합니다. 신부동 터미널 근처 ‘브뢰드플라츠’입니다. 17호점 요일 대표님의 소개로 연을 맺게 되었습니다. 2021. 11. 18.
내가 뽑는 플라스틱 줄이기 캠페인 슬로건 ‘청소년 플라스틱 쓰레기 줄이기’ 멘토링 프로그램의 두 번째 미션입니다. 대학생 멘토와 청소년멘티들로 구성된 각 조가 슬로건을 하나씩 만들었습니다. 6개의 슬로건 중 여러분이 생각하는 최고의 하나를 골라주세요. 최다 득표 슬로건은 천안녹색소비자연대의 온라인 캠페인에 사용됩니다. https://bit.ly/뽑을게 2021. 11. 15.
청소년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량 모니터링 결과 청소년 환경 멘토링 프로그램 참가자들과 함께 2주일 동안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량을 모니터링 했습니다. 대체로 지난여름 대학생들의 모니터링 내용과 비슷하지만, 포장 및 배달용기와 생활용품 쓰레기 배출 비중에서 다소 차이를 보입니다. 주로 자취를 하는 대학생들과 달리 청소년들은 가정의 살림을 담당하는 성인 보호자와 함께 거주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2021. 11. 10.
<종이팩 분리배출 체계 마련을 위한 정책 토론회> 후기 오늘 오후 2시에 진행했습니다. 우리 사회 자원순환 문제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하듯 많은 분들이 함께 해주셨습니다. ‘전국민이 분리배출에 참여하는 나라’에서 20년 동안 종이팩 분리배출 체계 수준이 제자리걸음인 것은 큰 문제입니다. 이는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은 상황에서는 지자체와 소비자의 노력도 한계가 있다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환경부 차원에서 대대적인 정리를 통해 생산자의 책임을 확고히 해야 한다는 점에 목소리를 모았습니다. 천안녹색소비자연대를 비롯한 민간단체들은 각 지역에서 종이팩 자원순환 시스템의 변화를 요구하는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왔습니다. 오늘은 광주광역시와 홍성에서 종이팩 자원순환 활동에 힘쓰는 과 의 사례를 통해 전국 각지에서 많은 시민들이 함께 노력하고 있음을 눈으로 확인했.. 2021. 11. 1.
청소년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현황 조사지 2021. 10.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