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1112 전지류는 폐전지 수거함에 버려주세요 (사)한국전지재활용협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국내 전지류 재활용률은 20%대(’17년 25.3%, ’18년 21.6%, ’19년 23.5%)대로 라고 합니다. 폐전지류 분리배출 필요성과 유해성에 대한 인식아 많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됩니다. 환경부는 생활 속에서 폐전지류의 올바른 분리배출이 정착 될 수 있도록 지난 10일부터 전국 지자체 대상으로 폐전지류 분리배출 홍보물을 배포했습니다. 현재 천안시에서는 홍보를 구상 중이라고 합니다. 가정에서 많이 배출되는 장난감, 소형가전(노트북 배터리, 충전용 보조배터리 등)에 내장된 전지류를 폐전지류 전용수거함에 배출하라는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도서관 등의 공공시설물과 청룡동, 불당동 주민자치센터에 설치된 폐건전지 배출함은 내년에 전체 읍면동 주민자치센터로 확대될 예.. 2020. 11. 13. 2020 여성건강학교 2강 <닭대가리와 치느님의 세상> 2020 여성건강학교 2강, 정은정 작가님과 함께 했습니다. 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매식인 치킨을 중심으로 한국의 먹거리 문화와 산업을 해부한 책입니다. 음식 사회학을 다룬 대표적인 책 중 하나입니 다. 오늘은 음식을 통해 사회구조를 바라보는 색다른 관점을 공유했습니다. 그 중에서도 치킨이 메인요리였죠. 우리나라의 한해 도계량은 약 10억 마리, 그 중 70%가 치킨입니다. 명실상부 최고의 배달음식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먹는 사람이 많으면 파는 사람도 많은 법. 치킨은 한국 자영업의 상징이기도 합니다. 2019년 2월 기준 전국 치킨 브랜드 수는 409개, 치킨집 개수는 8만 7000여 곳입니다. 독점 대기업에 의해 수직계열화가 완료된 치킨 시장은 매일 살인경쟁 중입니다. 프랜차이즈 본사가 떼어가는.. 2020. 11. 12. 서여자중학교 화장품 안전교육 2 어제에 이어 오늘도 서여중에서 핸드메이드 체험교육 진행했습니다. 사진은 흡사 과학실같네요. 짧은 시간 안에 여러 품목을 만드느냐 바빴다고 하네요. 2020. 11. 11. 서여자중학교 화장품 안전교육 1 서여자중학교에서 화장품 안전교육 진행하며 천연 스킨과 수분크림을 함께 만들었습니다. 아마도 올해 처음으로 학교에서 진행한 화장품 만들기 교육이 아닌가 싶습니다. 작년만 하더라도 이런 학교 교육 후기를 자주 올렸었는데, 그 일상 같았던 일이 특별해지고 말았네요. 2020. 11. 10. 단국대학교, 천안녹색소비자연대 교류협력 협약식 단국대학교 사회봉사단과 천안녹색소비자연대는 향후 협력을 통해 자원순환 녹색캠퍼스 만들기 운동, 나아가 지역사회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함께 하기로 협약을 맺었습니다. 2020. 11. 10. 2020 여성건강학교 1강 <고기와 당신 사이에 한 번쯤 놓여야 할 이야기> 2020 여성건강학교 1강, 한승태 작가님과 함께 했습니다. 는 저자가 국내 사육농가에 취업해서 겪은 다년간의 노동경험을 글로 옭긴 르포르타주입니다. 고기 산업에 대한 생생한 증언이자 노동 에세이인 동시에 사람의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고기 산업을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공간’과 ‘시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사육 동물이 움직임을 위한 최소한의 ‘공간’도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 사육 동물을 더 빠른 ‘시간’안에 고기로 살찌우기 위해 벌어지는 일들, 이 공간과 시간 때문에 일어나는 일들은 거의 모든 소비자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있습니다. 소비자들이 이 공간과 시간의 문제를 타자화하는 만큼 축산업 현장은 비인도적이며 비인간적인 곳이 됩니다. 고기로 태어난 동물들의 삶, 식용 동물농장에 얽.. 2020. 11. 10. 이전 1 ··· 142 143 144 145 146 147 148 ··· 1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