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44

서울새활용플라자에 다녀왔습니다 파란 하늘이 기분좋은 토요일, 쓰레기의 쓰임을 찾아 서울새활용플라자 견학을 진행하였습니다.서울녹색구매지원센터를 방문해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녹색소비와 녹색구매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본 후 도슨트 투어를 시작했습니다. 병뚜껑, 종이팩, 비닐, 천막천, 유리병, 폐의류 등 다양한 소재의 쓰레기들의 멋진 탈바꿈을 목격했습니다.플라자 안에 위치한 녹색구매지원센터에 들러 녹색제품에 대한 이야기도 듣고, 그 옆의 서울하수도과학관에서 생활하수의 처리과정도 알아보았습니다. 인접해있어 두루두루 둘러보기 좋은 곳들입니다.쓰레기의 새삶을 생각하며 함께 했던 시간들이 일상 속 실천으로 이어지기를 희망합니다. 🙏🌏#서울새활용플라자 #업사이클링 #자원순환 #친환경 #서울하수도과학관 #천안녹색소비자연대 2024. 10. 15.
아이편한어린이집 기부금 전달식 천안녹색소비자연대와 종이팩 자원순환에 함께 하고 있는 성환 아이편한어린이집에서 지난 9월 27일에 진행한 아나바다 장터 수익금 전액을 자원순환 기금으로 기부해주셨습니다. 하원 후 시작한 장터는 늦은밤까지 계속되었다고 합니다. 어린이집 졸업생과 학부모님들도 참여하여 뜻깊은 행사가 만들어졌습니다. 앞으로도 행복하고 깨끗한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길 희망하며 기부증서와 함게 감사의 마음 전했습니다.    ※ 천안녹색소비자연대는 정부와 기업의 후원 없이 100% 개인 기부금으로 운영되는 비영리 시민단체입니다. 일시기부와 정기기부로 힘을 실어주세요. (기부문의 010-5944-9897) 2024. 10. 10.
<초록은 동색> 하반기 참가 어린이 모집 어린이 숲체험 프로그램 초록은 동색> 하반기 참가 어린이를 모집합니다. 작년에 함께 했던 어린이, 새롭게 함께 할 어린이 모두 환영합니다. 녹소연 기부자가 아닌데 관심을 보이는 분들 계신다면, 이번 기회에 기부 권유를 해보시면 어떨까요? 2024. 10. 7.
일회용품 사용 없는 지역축제 시민 의식조사(2024 천안흥타령춤축제) 2024 천안흥타령춤축제에 방문한 천안시민을 대상으로 지역축제 쓰레기 문제에 대하여 인식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올해는 천안시에서 최초로 푸드존에 [다회용기 서비스]를 도입하여 시민들이 축제 현장에서 직접 다회용기를 사용해보았습니다. 그래서인지 축제 일회용품 사용 규제에 대한 찬성 의견 비율이 지난 5월 K-컬쳐 박람회 때보다 높았습니다. 무려 97%의 수치입니다.   다회용기가 도입된 것은 환영할만한 일이고 발생되는 쓰레기의 양도 줄어든 것은 맞습니다. 하지면 아쉬운 점이 없지 않습니다. 우선 축제 공식홈페이지, 안내 리플렛, 홍보 현수막 그 어느 곳에서도 해당 내용을 찾아볼 수 없다는 점이 그렇습니다. 우리는 지금 ‘어떤 연예인이 온다’ 보다 ‘쓰레기를 줄이는 축제’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시대에 살고 .. 2024. 9. 30.
2024 천안흥타령춤축제 일회용품 사용 모니터링-4 2024 천안시흥타령춤축제 마지막날에도 축제장 쓰레기 모니터링 진행했습니다.오늘은 천안시 중소기업 홍보관을 둘러봤습니다. 방문객이 제법 있었는데 황당하게도 분리배출함 없이 검정비닐봉투에 모든 쓰레기가 버려지고 있었습니다. 시민 몇분이 여기는 쓰레기통이 없어 불편하다는 의견주셨습니다. 쓰레기 없는 축제에 이런 예외가 있어서는 안 되겠죠?일회용품 없는 친환경 축제는 음수대가 없다면 이루기 불가능한 꿈입니다. 더운 날씨에 목이 탄 사람들이 많아서인지 편의점 트럭에서 플라스틱병에 담긴 생수를 구매하는 줄이 계속 이어졌습니다. 한 시간 동안에만 무려 126개의 병물이 판매되었습니다. 😡 이렇다보니 플라스틱 배출함에 생수병이 한가득.사실상 행사장 내 유일한 식수공급원(유료였지만)인 이 편의점은 평지가 아닌 트럭 .. 2024. 9. 30.
2024 천안흥타령춤축제 일회용품 사용 모니터링-3 2024 천안흥타령축제 쓰레기 모니터링 4일차 진행했습니다. 주말이라 예상대로 방문객이 많았습니다. 그만큼 많은 분들이 다회용기 경험을 하시면 좋겠다..싶었으나 오늘은 용기 뚜껑이 이슈였습니다.다회용컵 뚜껑이 모자란 탓인지 지역먹거리업소 음료부스에서 음료를 구매하니 '뚜껑이 없는데 괜찮겠냐'고 물어보셨습니다. 그래서인지 다회용기 대신 일회용 테이크아웃컵에 음료를 받는 분들이 부쩍 많이 보였습니다.늘어난 방문객 숫자를 감안한다고해도 어제와는 확연히 다른 모습입니다. 지침이 너무 느슨했던 것은 아닌지요?그리고 이해가 어려운 장면이 하나 더. 푸드존이 아닌 체험존의 한 대학교 부스에서 자체적으로 음료를 판매하고 있었는데, 100퍼센트 일회용컵으로 제공되었습니다. 숫자를 세어보니 시간당 100개 이상의 플라스틱.. 2024. 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