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교육/청소년25 "학교 창체시간을 활용하여 한학기에 2시간은 무조건 환경교육을 하면 좋겠어요" 청소년이 제안하는 녹색헌법 청수고등학교 환경동아리와 함께 녹색헌법 만들기를 진행하였습니다. 분리배출&재활용에 대한 이벤트를 교육기관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기적으로 진행한다, 학교 창체시간을 활용하여 한학기에 2시간은 무조건은 환경교육을 한다, 날카로운 부분이 있는 쓰레기 전용 수거함을 만든다, 도서관에서 옷을 빌리고 반납한다 등 다양한 의견을 내주었습니다. 선미샘이 다양한 의견을 분류하고 아이들과 소통해 주어 저도 아이들의 의견을 청소년의 시각으로 볼 수 있었습니다. 사람과 동물(식물)이 함께 살아가기 위한 생물다양성 관련한 청소년들의 정책 제안 결과 생태통로를 더 많이 배치하고 숲처럼 느낄 수 있게 나무를 많이 심는다, 재난이 일어났을때 반려동물(야생동물)을 보호할 수 있는 시설을 만든다, 식목일에는 학교에서 함께 나무를 심.. 2025. 9. 11. 기후위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강력한 정책이 필요 '기후변화협상 시뮬레이션' 에너지의 날에 진행하는 '기후변화협상 시뮬레이션', 천안고등학교 2학년 친구들과 함께 진행하였습니다. 기후위기 문제에 대해 알아보고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실천을 넘어 국가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부분과 이를 위해 국가각 협약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해 보았습니다.그리고 미국, 유럽연합, 기타선진국, 중국, 인도, 기타개발도산국으로 나누어 기후협상을 진행하였습니다. 국가별로 온실가스 배출이 정점을 찍는 해와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시작되는 해, 특히 매년 감소되는 비율을 얼마로 할지 국가별로 치열한 토론을 진행하였습니다.코로나 시기인 2019년-2020년 탄소감축량이 7%임을 감안하여 국가별 탄소를 얼마나 줄일 수 있을지, 줄이기 위해서는 어떤정책이 필요한지도 치열하게 토론하였습니다. 하지만 결론.. 2025. 8. 25. 우리손으로 만드는 "녹색헌법" 4월에 개관한 천안시청소년복합커뮤니티센터에서 어린이와 청소년들을 만나 '녹색헌법 만들기' 활동을 진행하였습니다.헌법을 만드는 과정에 대해 이야기 나눈 후 자원순환-기후위기-생물다양성에 대해 초등학생-중학생 그룹으로 나누어 꼭 필요한 제도나 정책이 무엇인지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그리고 각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녹색헌법 조항에 대해 포스트잇에 작성한 후 투표를 진행하였습니다.투표는 참여자 모두가 함께 했는데요, 각각의 제안 사항에 대해 꼼꼼히 읽어보고 투표를 해주었습니다.투표가 끝난 후 환경에 더욱 관심을 갖기로 다짐하였으며 9월-10월에 진행되는 녹색헌법 조항 만들기 투표에도 참여해 주기로 하였답니다.어린이-청소년들이 즐겁게 자신의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공간 #천안시청소년복합커뮤니티센터, 응.. 2025. 8. 7. 초록우산어린이재단 '그레잇' 활동 지난 8월 천안시종합사회복지관의 환경봉사 동아리 청소년들에게 녹색소비 교육을 지원한바 있습니다. 3개월의 활동을 마친 청소년들이 녹소연을 방문했습니다. 활동 영상을 함께 본 후 청소년들이 직접 만든 의견제안서를 전달받았습니다. 청소년들이 느끼고 있는 ‘천안의 환경 문제’에 대해 짚어볼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천안시종합사회복지관 #그레잇 #청소년 #친환경 #봉사 #녹소연 #천안녹색소비자연대 2022. 12. 5. 복자여자고등학교 환경동아리 EM흙공 만들기 복자여고 환경동아리 친구들과 만났습니다~ 지난달에는 샴푸바를 만들었는데요~ 오늘은 EM흙공 만들기를 진행했습니다~ 진숙샘께서 EM흙공 만들기 함께 해주셨습니다~ 교실에서 활동하고 나서만들기는 외부에 있는 녹색가게? 공간에서 만들었습니다~ 날이 추워서 곰팡이가 잘 필지 모르겠네요~^^;; 2주 뒤에 하천에 던져준다고 하셨는데~~날이 많이 춥지않기를 바램합니다! 재잘재잘..김장 담그는 모양새로 앉아서...^^즐겁게 흙공을 주물주물 잘 만들었습니다! 2021. 10. 22. 복자여자고등학교 환경동아리 멘토링 활동 복자여자고등학교 환경동아리 친구들과 자원순환을 주제로 친환경 생활 리빙랩 멘토링 활동을 진행했습니다. 학교 안 청소년들이 실천할 수 있는 생활 속 플라스틱 줄이기 방법이 무엇일지 함께 머리를 맞대고 고민해봤습니다. 2021. 9. 24.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