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교육144 [녹색헌법 만들기] 어린이 청소년 녹색헌법 만들기 워크숍 6월과 7월 천안오성초등학교와 복자여자중학교 환경동아리 친구들과 함께 녹색헌법 만들기 활동을 진행하였습니다.어린이와 청소년의 입장에서 자원순환, 기후위기, 생물종 다양성과 관련하여 환경적인 문제점이 무엇인지, 각각의 문제를 해결하려면 어떤 정책이 필요한지 어린이와 청소년의 입장에서 의견을 내고 논의하고 투표를 진행하였습니다.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실천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적극적인 환경보전을 위한 정책과 제도도 필요합니다. 어린이와 청소년이 제안하는 녹색조항에 대해 잘 정리하여 하반기 청소년 녹색헌법에 조항 투표로 만나겠습니다. 2025. 7. 10. [녹색헌법 만들기] 성성초등학교 워크샵 성성초등학교 환경동아리 친구들과 녹색헌법 만들기 워크샵 함께 했습니다. 오늘은 자원순환에 대해 생각해보았어요. 각자가 생각하는 자원순환(쓰레기) 문제를 꼽아보고 그런 문제들 해결할 수 있는 법, 혹은 그런 문제가 애초에 발생하지 않게 하는 법을 상상해보았습니다. 마음에 드는 아이디어에 스티커를 붙이는 투표도 해봤습니다. 가장 많은 스티커를 받은 아이디어를 추려 녹색헌법 조항을 완성합니다. 헌법은 우리나라의 안정과 평화를 위해 만든 국가와 국민 간의 약속입니다. 녹색헌법 만들기 워크샵은 더 깨끗한 우리사회를 위한 약속을 정하는 활동입니다. 5명에서 10명 사이의 어린이/청소년으로 구성된 동아리나 학급 모임 등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녹색헌법 #자원순환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성성초 #천안녹색소.. 2025. 5. 20. 화학물질저감우수제품 체험단 교육 10월 24일 화학물질저감우수제품(이하 화우품) 체험단 교육이 진행되었습니다. 화학물질저감우수제품 심사제에 대한 설명과 선정상품을 살펴보았으며 총 3가지 제품(비앤비 비건 섬유세제, 무궁화바른세제연구소 베이킹소다, 노브랜드 신방장 서랍장 제습제)을 2주 동안 사용해 보기로 하였습니다. 그리고 화우품 심사제도에 대해서도 SNS를 통해 일반시민들에게 알려내어 전성분이 비밀 없이 공개된 안전한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홍보도 함께 진행할 예정입니다. 2024. 10. 28. 미죽초등학교 천연염색 체험 2024. 10. 25. 지역아동센터 탄소중립 교육 맑은 날 250제곱미터의 엽면적을 기준으로 가로수 1그루는 매일 성인 1~4명이 방출하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성인 1~3명에게 산소를 공급한다고 합니다. 기후위기 대응에 있어 그만큼 식물이 중요한 까닭입니다. 어제는 천안지역아동센터 오늘은 깨비지역아동센터 친구들과 함께 다육이 화분을 만들어보며 탄소중립에 대해 이야기 했습니다. 매일 나무를 심을 수는 없겠지만 함께 만든 다육이 화분을 보며 더 깨끗한 미래를 위한 실천을 다짐해봅니다. 2024. 10. 15. 동물권 특강 <꽃비내리는 날 다시 만나> 천안녹색소비자연대 동물권 시민강좌, 9월에는 허은주 수의사님과 함께 했습니다. 수의사님이 쓰신 책 는 병원 안팎에서 마주한 동물들과의 기억을 담은 책입니다. 책에 나왔던 에피소드들을 중심으로 작가님이 병원 안팎에서 만난 동물들의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어느새 애완동물보다 반려동물이라는 말을 더 많이 쓰는 사회가 되었지만, 우리 사회가 비인간 동물을 진정으로 인간의 반려라고 생각하고 있는지는 의문입니다. 오늘 강연은 그런 인식의 틈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학대 받는 동물, 버려진 동물, 도축당하는 동물, 생매장 당하는 동물, 다치는 동물. 인간이 더 많이 먹고, 더 예쁜 삶을 영위하는 동안 비인간 동물들에게 가해지는 충격들을 돌아보았습니다. 간디는 ‘한 국가의 도덕적 진보는 그 국가가 동물을 어떻게 대하는.. 2023. 9. 18. 이전 1 2 3 4 ···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