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114 자원순환118 에코팀-주부팀 활동 정리 2025. 5. 26. 자원순환118 에코팀-대학생 활동 정리 2024년 5월부터 1년 동안 진행한 자원순환118 에코팀 활동에는 많은 대학생들과 주부들이 참여를 하였습니다.대학생들은 일상에서 주로 어떤 쓰레기를 배출하고 있는지,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 그리고 자원순환이 되기 위해서는 어떤 제도가 필요하다고 느꼈는지 다양한 의견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2025. 5. 23. 매월 22일 지구를 위한 소등 5월 22일 오늘은 세계 생물다양성의 날이자 지구를 위한 10분 소등이 있는 날입니다. ‘모든 생명은 서로 돕는다’는 말이 있죠. 지구 상의 모든 생명은 다른 종들과 협력하여 진화해왔습니다. 서로가 있어 존재하는 소중한 공진화(coevolution)의 선물을 기억하며 소등에 함께 해주세요. 2025. 5. 22. [녹색헌법 만들기] 성성초등학교 워크샵 성성초등학교 환경동아리 친구들과 녹색헌법 만들기 워크샵 함께 했습니다. 오늘은 자원순환에 대해 생각해보았어요. 각자가 생각하는 자원순환(쓰레기) 문제를 꼽아보고 그런 문제들 해결할 수 있는 법, 혹은 그런 문제가 애초에 발생하지 않게 하는 법을 상상해보았습니다. 마음에 드는 아이디어에 스티커를 붙이는 투표도 해봤습니다. 가장 많은 스티커를 받은 아이디어를 추려 녹색헌법 조항을 완성합니다. 헌법은 우리나라의 안정과 평화를 위해 만든 국가와 국민 간의 약속입니다. 녹색헌법 만들기 워크샵은 더 깨끗한 우리사회를 위한 약속을 정하는 활동입니다. 5명에서 10명 사이의 어린이/청소년으로 구성된 동아리나 학급 모임 등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녹색헌법 #자원순환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성성초 #천안녹색소.. 2025. 5. 20. 푸른별상점 순환바자회 현장 지난 토요일 푸른별상점의 열한 번째 순환 바자회가 열렸습니다. 사용하지 않는 중고물품을 나누며 물건의 수명을 늘리고, 수익금은 전부 자원순환 활동 기금으로 기부되는 이름 그대로 [순환]의 시간이었습니다. 이날 수익금은 총 448,000원이었습니다. 자원봉사자님들, 들러주신 분들 그리고 푸른별상점 모두 감사합니다. 2025. 5. 19. 다시입다연구소 정주연 대표 강연 "가장 지속가능한 옷은 이미 옷장에 있다."다시입다연구소의 정주연 대표와 패션의 환경오염문제와 그 대안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우리가 사놓고 입지 않는 옷의 비율이 평균 21%라고 하는데요, 중고 의류는 플랫폼을 통해 재판매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헌옷 수거함으로 향합니다. 헌옷 수거함의 옷 중 5% 남짓은 국내에서 재사용되고 나머지 85%는 수출이 됩니다. 이런 옷을 수입한 나라에서 재사용이 된다면 참 좋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죠. 그대로 쓰레기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렇게 많은 옷이 버려지는 것은 당연히 그만큼 많이 만들기 때문이고, 빠르고 값싸게 옷을 만들기 위해서는 저렴한 노동력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기업들은 방글라데시아나 캄보디아 등의 개발도상국으로 값싼 노동력을 찾아 움직입니다... 2025. 5. 14.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18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