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027

성성나래어린이집 기부금 전달식

이번 가을에는 선물을 참 많이 받네요.천안푸르지오레이크사이드 아파트에 위치한 성성나래어린이집에서 벼룩시장 수익금 100만원 전액을 자원순환 기금으로 기부해주셨습니다.   지난 8일에 지구를 지키는 성성나래 아나바다 장터>를 개최하여 중고물품을 나누고, 수익금은 녹소연의 기금으로 보내주셨어요. 직접 자원순환 행사를 진행하고 또 그 수익금을 환경단체에 자원순환 활동비로 기부해주신 마음이 참으로 감사합니다.   환경을 생각하는 어여쁜 마음들이 지역에서 잘 쓰일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천안녹색소비자연대는 정부와 기업의 후원 없이 100% 개인 기부금으로 운영되는 비영리 시민단체입니다. 일시기부와 정기기부로 응원해주세요.   ※기부문의 010-5944-9897   #성성나래어린이집 ..

공지사항 2024.11.12

1.5도 라이프 스타일 워크샵

천안녹색소비자연대가 참여하고 있는 기후위기천안비상행동에서는 1.5도 라이프스타일 계산기를 활용한 워크샵을 진행합니다. 녹색전환연구소에서 만든 이 계산기는 내가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개수, 식단의 형태, 자동차 이용 시간 등의 정보를 입력하면 응답자의 탄소배출량을 숫자로 보여줍니다.   오늘은 천안NGO센터, 풀뿌리희망재단, 천안YMCA 활동가들과 1.5도 라이프스타일 워크샵 함께 했습니다. 생산이 아닌 소비의 관점에서 개인의 탄소배출량을 계산해보고 어떻게 하면 이 탄소의 양을 줄일 수 있는지 서로의 생각을 공유했습니다. 단체 활동가들답게 정책변화에 대한 흥미로운 관점들을 만나볼 수 있었습니다.   오늘 함께 한 우리는 일상 속 탄소배출을 줄이는 실천 하나씩을 정하고 일주일 동안 실천하고 또 인증하기로 ..

에너지 운동 2024.11.11

친환경 농산물 교육 및 채식요리교실

기후위기에 대한 감수성은 미래세대와 얼마나 공감하느냐에 달렸다고 하죠. 우리 다음에 올 세대들에게 미칠 영향에 대해 생각하고 행동한다면 현재를 바꿀 수 있다는 말입니다. 먹거리도 마찬가지입니다. 농업생태계와 생물의 다양성을 지키는 ‘친환경 농업’ 역시 세대와의 공감인 셈입니다.   오늘은 한 명의 소비자로서 우리가 어떻게 친환경 농업에 힘을 실어주고 지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는지 교육을 통해 알아보았습니다. 친환경농산물 인증을 꼼꼼하게 살피는 것, 유통과정에서의 탄소배출이 적은 지역 농산물을 이용하는 것, 소농의 농산물에 관심을 갖고 소비하는 것 등 이미 많은 분들이 실천하고 있고 또 실천할 수 있는 것들입니다.   교육 후에는 치즈 대신 두부를 활용한 두부토마토카프레제와 샐러드를 직접 만들어..

<쓰레기 없는 지역축제 만들기 시민 토론회> 개최

10월 30일 천안녹색소비자연대 주관으로 쓰레기 없는 지역축제 만들기 시민 토론회>가 진행되었습니다.전북환경운동연합 문지현 사무처장의 전북 지역 쓰레기 없는 축제 사례 발제에 이어 천안녹색소비자연대에서 지난 5월 k컬처 박람회와 9월 흥타령춤축제 현장에서 진행했던 일회용품 발생량 실태조사 및 시민인식조사 결과 발표가 있었습니다.   박진용 천안YMCA 사무총장이 좌장을 맡은 이번 토론회에는 정선희 천안시의회 경제산업위원회 부위원장, 김민아 쌍용2동 주민자치회 지원실장, 곽금혁 충남광역자활센터 부장, 안혜정 이안아트팜 대표, 김우수 천안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국장이 토론자로 참여하였습니다.   천안시청 청소행정과 재활용팀도 토론회에 참여해 지난 흥타령춤축제의 다회용기 사업성과를 공유하였습니다. 시청의 ..

자원순환 운동 2024.10.31

화학물질저감우수제품 체험단 교육

10월 24일 화학물질저감우수제품(이하 화우품) 체험단 교육이 진행되었습니다. 화학물질저감우수제품 심사제에 대한 설명과 선정상품을 살펴보았으며 총 3가지 제품(비앤비 비건 섬유세제, 무궁화바른세제연구소 베이킹소다, 노브랜드 신방장 서랍장 제습제)을 2주 동안 사용해 보기로 하였습니다. 그리고 화우품 심사제도에 대해서도 SNS를 통해 일반시민들에게 알려내어 전성분이 비밀 없이 공개된 안전한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홍보도 함께 진행할 예정입니다.

환경교육/성인 2024.10.28

화학물질저감우수제품 홍보 캠페인

안전한 생활화학제품 시장을 만들기 위해 시민사회, 기업, 정부가 한데 모여 화학물질저감우수제품> 제도를 만들었습니다. 제품에 들어간 전성분 모두 공개, 전성분에 대한 ‘원료 안전성 평가’ 획득, 유해성 높은 물질은 줄이거나 교체하는 과정을 거친 상품에 이 마크가 부탁됩니다. 현재 72개의 제품이 선정된 상태이고 계속해서 늘어나는 중으로 시민들에게 이 제도를 알리고자 캠페인을 진행하였습니다.

캠페인 2024.10.28